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임신 시 정부(+민간) 지원 정책 정리: 혜택과 신청 방법

by 똑똑이지 2025. 4. 2.

대한민국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과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제공합니다. 


1. 임신 초기 (1~13주) 정부 지원

1~4주: 수정과 착상

  • 엽산 및 철분 보충제: 공공보건센터에 등록하면 임신 초기 3개월 동안 엽산 보충제를 무료로 제공받습니다. 16주 이후에는 철분 보충제도 지원됩니다.
    • 신청 방법: 공공보건센터 방문, 임신 확인서 제출.
  • 국민행복카드: 임신 확인 후 국민행복카드를 신청하면 100만 원(쌍둥이 140만 원)의 지원금을 받습니다. 산부인과 진료비, 약국 비용 등에 사용 가능하며, 2년 내 사용해야 합니다.
    • 신청 방법: 의사 소견서와 신분증을 지참해 제휴 은행(롯데카드, 삼성카드 등)에서 신청.

5~8주: 주요 장기 형성

  •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: 20주 이후 11대 고위험 임신 질환(조기 진통, 출혈, 자궁경부무력 등)으로 입원 시 최대 300만 원 지원.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80% 이하여야 합니다.
    • 신청 방법: 공공보건센터에서 신청, 입·퇴원 확인서 제출.

9~13주: 태아의 기본 형태 완성

  •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: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진료비 지원. 2025년 기준 단태아 100만 원, 쌍태아 140만 원으로 상향 조정.
    • 신청 방법: 국민행복카드 발급 후 사용.

2. 임신 중기 (14~27주) 정부 지원

14~20주: 태동 느끼기 시작

  • 서울시 교통비 지원: 서울 거주 임산부는 70만 원 교통비 지원.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사용 가능. 6개월 거주 요건이 2024년 3월 폐지됨.
  • 임신 중 근로 시간 단축: 2025년 2월 23일부터 시행. 임신 12주 이내 및 32주 이후 근로자는 하루 2시간 근로 시간 단축 가능. 대기업은 8시간 미만 근로자도 6시간으로 조정 가능.
    • 신청 방법: 회사 인사팀에 신청, 임신 확인서 제출.

21~27주: 태아의 감각 발달

  • 첫만남이용권: 출생 후 첫만남이용권으로 300만 원 지급.
  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(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.
  • 난임 치료 휴가 확대: 2025년 2월 23일부터 난임 치료 휴가가 연 3일에서 6일로 확대, 첫 2일은 유급 보장.
    • 신청 방법: 회사 인사팀에 신청, 의사 소견서 제출.

3. 임신 후기 (28~40주) 정부 지원

28~36주: 태아의 체중 증가

  • 산전·산후 휴가 확대: 2025년 2월 23일부터 조산 시 산전·산후 휴가가 90일에서 100일로 연장. 추가 10일에 대해 30일당 210만 원(10일 기준 70만 원) 지원.
  • 서울시 35세 이상 임산부 지원: 2024년 7월부터 서울 거주 35세 이상 임산부는 최대 50만 원의 진료비 및 외래 치료비 지원.
    • 신청 방법: umppa.seoul.go.kr에서 신청.

37~40주: 출산 준비

  • 출산 후 지원금: 2025년 기준, 24개월 미만 아동 부모는 월 지원금 지급. 12개월 미만은 월 100만 원, 12~24개월은 월 50만 원. 현금 또는 보육 바우처로 지급.
  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(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.
  • 서울시 산후조리 지원: 2024년부터 서울시는 가구당 100만 원의 산후조리비 지원.

4. 추가 정부 지원

  • 영양 지원: 공공보건센터에서 영양 교육 및 상담 제공. 빈혈, 저체중 등 영양 부족 위험이 있는 임산부와 영유아에게 보충 식품 지원. 가구 소득이 최저생계비 80% 이하여야 하며, 국제결혼 가정은 한 명이 한국 국적자여야 함.
    • 신청 방법: 공공보건센터 방문, 소득 증빙 서류 제출.
  • 서울시 공공시설 혜택: 2024년 10월부터 서울시 임산부는 공공시설 우선 이용 및 할인 혜택 제공. 고척스카이돔, 잠실실내수영장은 50% 할인, 서울월드컵경기장은 무료 입장.
    • 신청 방법: 서울월렛 앱으로 인증 후 이용.
  • 외국인 지원: 서울시 교통비 지원은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도 신청 가능.
    • 신청 방법: 서울맘케어에서 신청.

5. 신청 팁 및 유의사항

  • 신청 시기: 임신 확인 즉시 국민행복카드와 엽산 보충제를 신청하세요. 고위험 임산부 지원은 20주 이후 입원 시 신청 가능.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(bokjiro.go.kr), 정부24(www.gov.kr), 주민센터에서 신청. 서울시 지원은 서울맘케어 또는 umppa.seoul.go.kr에서 가능.
  • 필요 서류: 임신 확인서, 신분증, 입·퇴원 확인서(고위험 지원 시), 통장 사본.
  • 유의사항: 지원금은 지역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.

결론: 쇼핑몰 및 민간 업체 임산부 혜택

 

성심당 (Sungsimdang)

  • 혜택: 성심당 본점은 임산부를 위한 ‘프리패스’ 서비스를 운영합니다. 임산부 배지나 산모 수첩을 소지한 경우 긴 대기 줄을 기다리지 않고 매장에 바로 입장 가능하며, 전 지점에서 결제 금액의 5%를 할인해줍니다.
  • 이용 사례: 성심당은 대전 지역의 대표적인 베이커리로, 임산부 배려 정책이 X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. "임신 중이라 줄 서기 힘들었는데 프리패스로 바로 입장해서 너무 편했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매장 방문 시 임산부 배지 또는 산모 수첩 제시.

MomNuri (맘누리)

  • 혜택: MomNuri는 임산부 전용 의류와 용품을 판매하는 전문 매장으로, 임산부 회원 가입 시 10% 할인 쿠폰을 제공합니다. 마터니티 의류와 함께 허리 및 복부 지지대, 수유 쿠션 등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 가능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MomNuri는 편안함과 스타일을 동시에 추구하는 임산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. 특히 "복부 지지대가 허리 통증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됐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MomNuri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 후 임신 확인서 등록.

Babiz (베이비즈)

  • 혜택: Babiz는 ‘Mother’s Baby’ 컬렉션을 통해 임산부와 신생아를 위한 제품을 판매합니다. 임산부 회원에게 첫 구매 시 5,000원 할인 쿠폰과 함께 마터니티 벨트, 수유 스툴 등을 10% 할인된 가격에 제공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Babiz는 임신 초기부터 출산 후까지 필요한 용품을 제공하며, "수유 스툴 덕분에 수유 시간이 훨씬 편해졌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Babiz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 후 임신 확인서 제출.

Merry Tune (메리튠)

  • 혜택: Merry Tune은 임산부와 아기를 위한 안전한 부스터 및 캐리어를 판매하며, 임산부 회원에게 5% 할인과 무료 배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Merry Tune은 외출이 잦은 임산부들에게 유용합니다. "캐리어가 가볍고 튼튼해서 외출 시 편리하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Merry Tune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 후 임신 확인서 등록.

Sweet Plus (스위트플러스)

  • 혜택: Sweet Plus는 임산부 의류와 유아용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몰로, 임산부 회원에게 5% 할인과 5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 혜택을 제공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Sweet Plus는 다양한 제품군과 품질 관리로 임산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. "마터니티 의류가 편안하고 예뻐서 자주 이용한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Sweet Plus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 후 임신 확인서 제출.

3. K-뷰티 및 스킨케어 업체의 임산부 혜택

Soko Glam (소코글램)

  • 혜택: Soko Glam은 K-뷰티 제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으로, 임산부를 위한 스킨케어 제품을 큐레이션합니다. 임산부 인증 시 Atopalm Maternity Care Stretch Mark Cream(임신선 방지 크림)과 같은 제품을 10% 할인된 가격에 구매 가능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Soko Glam은 임신 중 피부 변화를 고려한 제품을 제공하며, "임신선 방지 크림 덕분에 피부가 덜 당긴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Soko Glam 웹사이트에서 ‘Maternity Care’ 섹션에서 구매.

Stylevana (스타일바나)

  • 혜택: Stylevana는 임산부 친화적인 K-뷰티 제품을 판매하며, 임산부 회원에게 첫 구매 시 5,000원 할인 쿠폰을 제공합니다. Logically, Skin의 Cleansing Logic Care Cleansing Foam과 같은 제품은 민감한 피부에 적합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Stylevana는 임신 중 피부 관리에 필요한 제품을 저렴하게 제공하며, "클렌징 폼이 순해서 피부 자극 없이 잘 사용한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Stylevana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 후 ‘Pregnancy-Safe’ 카테고리에서 구매.

SeoulCeuticals (서울슈티컬스)

  • 혜택: SeoulCeuticals는 한국산 원료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하며, 임산부에게 적합한 토너와 세럼을 10% 할인된 가격에 제공합니다. 임산부 인증 시 추가 5%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이용 사례: SeoulCeuticals는 피부 톤 개선과 보습에 효과적인 제품으로, "임신 중 피부 톤이 고르지 않았는데 토너 덕분에 좋아졌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SeoulCeuticals 웹사이트에서 구매 시 ‘Pregnancy-Safe’ 옵션 선택.

4. 추가 민간 지원 혜택

Petit Elin (쁘띠엘린)

  • 혜택: Petit Elin은 임산부와 신생아 용품을 판매하는 브랜드로, 임산부 회원에게 5% 할인과 5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 혜택을 제공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Petit Elin은 롯데월드몰을 포함한 13개 백화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, "유아용품이 다양해서 자주 이용한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Petit Elin 웹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회원 가입 후 임신 확인서 제출.

KOODING (쿠딩)

  • 혜택: KOODING은 한국 패션 및 뷰티 제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으로, 임산부 회원에게 마터니티 의류 구매 시 10%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.
  • 이용 사례: KOODING은 다양한 마터니티 패션을 제공하며, "마터니티 의류가 세련돼서 임신 중에도 멋스럽게 입을 수 있었다"는 후기가 많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KOODING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 후 ‘Maternity Fashion’ 카테고리에서 구매.